과학 이야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조화 평균과 평균 속도 또는 평균 속력 (feat. 가중 산술 평균)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도 정말 오랜만입니다. 다들 건강하고 행복하시면 좋겠습니다. 오늘은 조화 평균과 평균 속도 또는 평균 속력에 대해서 고찰해보는 시간을 가져 보겠습니다. 이를 구하는 문제는 중등 과정에서부터 등장했던 거로 기억을 하는데, 대부분 주입식 교육에 희생 당해 고등 과정으로 넘어가도, 왜 그렇게 구하는지도 모르고 넘어가게 될 겁니다. 오늘 이 포스팅에서 자세히 알아가셨으면 정말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 포스팅에서는 방향을 구별하지 않고, 그 크기만을 계산하기 위해 평균 속력(average speed)이란 표현을 사용하겠습니다. 일단은 다음과 같이 전체 구간의 거리가 \(s\)인데 \(a\)와 \(b\) 각각 두 구간으로 나누어 \(s_a + s_b = s\)인 경우를 생각해보죠. \(s_a\.. 더보기 결로 현상에 대해 완벽히 이해하고, 방지하기 (feat. 이슬점 계산기). 안녕하세요. 오늘 깊이 생각할 주제는 바로 '결로(結맺을 결 露이슬 로)(Dew condensation)'입니다. 사전적 정의는 '이슬이 맺힘' 정도가 되겠죠. 24절기의 백로, 한로란 이름도 해가 지면서 기온이 낮아져 발생하는 이슬에 의해 유래되었습니다. 하지만 밖에서 발생하는 이슬이 실내에서 발생한다면, 이건 문제가 있겠죠?! 우리가 인식하는 실내에서 발생하는 결로란 각종 곰팡이가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현상입니다. 심한 경우, 본격적으로 날이 쌀쌀해지는 늦가을부터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 포스팅을 통해 많은 분들이 결로에서 해방되기를 기원하며, 본격적인 내용을 작성해보겠습니다. 기초적인 개념부터 차근차근히 시작할 것이기 때문에 이미 다 아는 내용이 있거나, 시간적 여유가 없으신 분들께서는 .. 더보기 Optical Lithography의 기초 원리 1. 안녕하세요.정말 오랜만에 블로그를 다시 시작하게 되네요.앞으로 Optical Lithography에 대하여 차근차근히 블로깅을 시작하려고 합니다.정말 열심히 할 것입니다.아무도 궁금하지 않아 하실 것을 알지만, 참 말하고 싶은 저의 근황이 있습니다.저의 기구한 운명으로 인하여, 조금은 엉뚱한 분야에 종사하게 됐습니다.저는 지금 Photomask라는 것을 만들고 연구하는 Optical Lithography과 관련이 된 업체에서 열심히 전문연구요원으로 군 복무를 하며 종사하고 있습니다.Chemistry → Physics → Particle Physics → Photolithography or Optical Lithography허허허..ㅎㅎ이쪽에 관련된 서적이라든지 지식을 약간 접하기 힘든 것으로 보이기 때문.. 더보기 불에 관한 고찰(속불꽃, 겉불꽃) 예전부터 제가 의문을 품어 왔던 현상을 말해볼까 합니다. 질문을 하나 해보죠. 속불꽃과 겉불꽃 중에서 어떤 것이 온도가 더 높을까요?! 이에 대한 대답은 모두 다 알고 있을 것입니다. 알다시피 겉불꽃이 속불꽃보다 온도가 더 높다는 것을 솔직히 말해서 이건 그냥 단순한 경험 또는 주입식 교육으로 인한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저는 뭔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래의 사진 한장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이 사진이 마음에 안 든다면 라이터를 얼른 켜 보세요. 분명히 속불꽃 색이 푸른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자, 당신이 물리학에서 아주 중요한 공식 하나를 기억할 때입니다. $$E=h\nu$$ $$h:\quad\text{Planck's constant},\quad \nu:\quad\text{frequency.. 더보기 이전 1 다음